잣산자, 매화산자, 밥풀산자 만드는 방법 9단계
산자는 반죽의 매개 재료로 무엇으로 쓰느냐에 따라 맛과 풍미, 질감은 물론이고 기름에 지졌을 때 바탕이 일어나고 고르게 퍼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그만큼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해서 여러 가지 맛이 나는 산자를 만들 수 있다. 잣산자, 매화산자, 밥풀산자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잣산자, 매화산자, 밥풀산자란? 반죽을 달리해서 풍미와 질감을 좋게했던 산자는 대개 꿀이나 조청, 참기름, 콩물, 약주, 소주, 막걸리가 단독으로 하거나 또는 2~3가지씩 쓰이고 더러는 콩가루나 물, 들기름이 쓰이기도 한다. 산자류 가운데 백산자가 있는데 쌀로 만든 백당을 고물로 묻힌 것이다. 눈처럼 희고 소담한 형태를 하고 있어 가히 아름답다고 할만하다. 1611년 허균의 도문대작에 따르면 백산자는 특히 전주의 명산물로써 이것을..
2023. 6. 19.
다양한 한과류의 종류
한과류는 만드는 법이나 쓰는 재료에 따라 크게 유밀과류, 강정류, 산자류, 다식류, 정과류, 숙실과류, 과편류, 엿강정류, 엿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과류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유밀과류 유밀과류는 밀가루를 주재료로 하여 기름과 꿀을 부재료로 섞고 반죽한 후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빚어 기름에 지진 과자를 말한다. 이러한 유밀과는 흔히 약과로 불려져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약과의 종류는 모양과 크기에 따라 대약과, 소약과, 모약과, 다식과, 만두과, 연약과, 매작과, 차수과 등이 있다. 특히 유밀과 중에서 널리 알려져 고려때부터 최고의 과자로 여겨 중요한 제사음식의 하나가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유밀과를 새, 붕어, 과실 등의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모나게 썰거나 판에..
2023. 6. 13.
//2024.06.10 적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