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요화과 만드는 방법 및 메밀 효능 부작용

by 부자엄마 조이스 2023. 7. 3.

요화과는 요화대라고도 하는 유과의 한 가지로 메밀가루에 설탕을 섞어 반죽한 다음 조금씩 떼어 여뀌꽃처럼 만들어 기름에 지져서 꿀을 바르고 그 위에 튀긴 밥풀을 입힌 전통과자이다. 요화과 만드는 방법 및 메밀 효능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요화과 만드는 방법
요화과 만드는 방법

 

유화과의 유래

요화과 여뀌를 재료로 하여 만든 과자가 아닌 과자의 모양을 여뀌꽃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하여 부르게 된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요화과의 종류에는 백세건반화과, 홍세건반요화과, 홍백세건반요화과, 삼색요화과 등이 있으며 주로 잔칫상에 올리기 위해 만든다.


조선왕조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연구에 의하면 백세건반요화과는 1887년, 1901년 5월과 7월, 1902년 4월과 11월의 궁중연회 상차림에 올랐고 홍세건반요화과는 1901년 5월, 1902년 4월과 11월의 잔치 때 만들어져 상에 올랐다. 그리고 삼색요화과는 1827년부터 1829년의 연회 때 차림음식으로 쓰였다.


이상의 상차림에 쓰였던 요화과 만드는 법을 보면 소금을 넣은 밀가루를 체로 쳐서 설탕을 섞은 다음 끓는 물에 반죽하여 여뀌꽃 모양으로 만든다. 그리고 이것을 기름에 튀겨내어 꿀을 발라 강반을 골고루 입힌다. 이때 백세건반요화과를 만들려면 강반을 그대로 묻히고 홍색으로 하려면 지초를 기름에 넣고 끓여 붉은색의 기름을 준비한다. 여기에 강반을 튀겨내어 붉은색의 강반을 만들어 입히면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강반은 찹쌀로 지은 지에밥을 튀긴 밥풀을 가리키는데 위와 같이 강반을 홍, 백색으로 만드는 까닭은 홍과 백색이 양색으로 경사의 뜻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화대는 1913년 조선요리제법에 속 낙개, 즉 메밀가루를 체에 친 속껍질에 설탕을 섞어 끓는 물에 반죽하여 강정처럼 기름에 지져서 조청을 바르고 찹쌀을 불려 쪄서 말린다. 그리고 기름에 볶은 것을 고물로 입힌 것이는 것이라고 하여 요화과와 요화대는 한 가지 음식임을 알 수 있다.


음식을 만듦에 있어서도 여름에 희고 잔꽃이 이삭모양으로 핀 청초한 모습의 여뀌꽃을 닮았다 하여 요화과라는 이름을 붙여준 우리 조상들의 슬기와 예술성을 엿볼 수 있다.

 

 

요화과 만드는 방법

요화과 재료 준비

메밀가루 1컵, 찹쌀가루 2컵, 설탕 반컵, 물 3/4컵, 소금 반작은술, 꿀 1컵, 튀긴 밥풀 4컵, 튀김기름 2컵

 

요화과 만드는 과정

1. 메밀가루와 찹쌀가루를 섞어 체에 내리고 준비한 분량의 물에 설탕과 소금을 넣고 끓여 식힌 다음 반죽한다.


2. 반죽을 조금씩 떼어 폭 1.5 cm, 길이 6cm 정도의 요화(여뀌꽃)처럼 만든다.


3. 120℃~130℃ 정도의 온도에서 속이 익도록 튀겨낸다.


4. 튀겨 낸 다음 꿀을 바르고 대강 부수어 굵은 체에 내린 튀긴 밥풀(강반)을 묻힌다.

 

참고할 사항

요화과는 여뀌꽃 모양으로 만드는 밀과이므로 경사스러운 날 화려하게 잔치상에 올렸다. 백색의 강반을 입힌 백세건반요화과와 지초에 기름을 넣고 끓여 붉은색의 물이 든 기름에 튀겨낸 강반을 입힌 홍세건반화과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메밀 효능 부작용

메밀은 파종 후 여린 싹이었을 때는 메밀나물 무침을 해 먹기에 좋다. 그리고 꽃이 피면 그 또한 장관이다. 달빛아래 흐드러지게 핀 꽃은 흩뿌려놓은 소금에 비유되기도 했다. 그리고 꽃이 지고 열매가 맺게 되면 메밀묵이나 메밀차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식자재 중 하나이다.

 

메밀에는 라이신, 트립토판, 필수 아미노산 등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성분은 전분 분해 및 단백질 분해 효소로서 장운동 및 장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식이장애나 만성 설사가 있는 사람에게도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신체 장기의 노폐물 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여름철 열사병과 장 감염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메밀의 루틴성분은 췌장의 기능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체내 인슐린 생성을 조절하여 당뇨 예방과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메밀은 피부미용에 효과적인 식품 중 하나이다. 성질이 차기 때문에 체온을 내려주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메밀의 아미노산은 피부 생성을 활성화하고 노화방지 및 부스럼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메밀에 함유된 풍부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간에 쌓인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간의 해독기능을 강화시키고 동시에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메밀의 함유된 비타민B는 알코올의 해독 작용을 도와주기 때문에 숙취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메밀에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등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메밀의 라이신 성분은 체내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켜 뼈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성장기 유아나 뼈가 약한 사람의 골다공증 개선에 도움이 된다.

 

메밀은 폴리페놀인 루틴이 함유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혈압을 안정시키고 죽상 동맥 경화증, 고혈압, 심근 경색 등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메밀과 메밀차에 들어있는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보호제인 루틴은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의 빠른 노화를 막아주는데 효과적이다. 

 

무와 메밀의 섭취는 평소 소화불량이나 장이 좋지 않은 경우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메밀은 찬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너무 많이 자주 섭취하게 되면 추가적인 소화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요화과 만드는 방법 및 메밀 효능 부작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반응형

//2024.06.10 적용함